어느 독일인이쓴 한국인 |
|
|
| ||
|
|
|
어느 독일인이쓴 한국인
지도에서 보듯이 이 나라는 두 강대국 중국과 일본 사이에 끼여 있습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이 나라는 지난 2000년 동안 한 번도 자율성을 잃어본 적이 없습니다. 한국인들은 "나라"라는 말보다는 "민족"이라는 말을 사용하는 것을 더 좋아합니다. 나는 어느 여름날 우연히 본 한 장의 사진 때문에 이 나라, 아니 이 민족에 얽힌 엄청난 이야기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1936년 히틀러 정권시절 베를린에서 올림픽이 개최됩니다. 그 당시에 마라톤경기에서 두 명의 일본인이 1등과 3등을, 그리고 2등은 영국인이 차지합니다. 하지만 시상대에 오른 두 일본인의 그 표정이라는 것이…그건 인간이 지을 수 있는 가장 슬픈 표정입니다…정말 불가사의한(아리송한) 사진입니다…왜 그 두 사람은 그런 슬픈 표정을 지으며 시상대에 올라 있는 것일까요?
그 당시 식민지의 대부분의 불행한 젊은이들은 엄청난 고통과 시련 속에서 개인의 꿈을 접고 살았습니다. '손기정'과 '남승룡'이라는 두 젊은이도 예외는 아니었지요. 그래서 이 두 사람은 그 울분을 마라톤으로 표출할 수밖에 없었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들은 수많은 일본의 경쟁자들을 물리치고 마침내 올림픽경기에 참가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뛰고 또 뛰었을 것입니다. 그런데 그들은 달리는 동안 무엇을 생각했을까요?
그런데 그 두 젊은이의 얼굴 표정이란 것이…두 사람은 얼굴을 푹 숙이고 있었습니다…그들은 자신들의 한없는 부끄러움과 슬픈 얼굴을 아무에게도 보이고 싶지 않은 것입니다. 그리고 일본의 검열하에서 이 기사를 실었던 '동아일보(원문에는 eastasia라고 돼 있음)'는 사진에서 일장기를 말소합니다. 그런데 이 행동은 숭고한 정신적 종교인 유교에 어울리는 독특한 저항방식이 아니겠습니까? 그 후 일본정부는 신문사의 폐간을 결정합니다. 이런 야비하고, 무지한 동시에 무식한 억압이 어디 있습니까?
한국인의 종교는 인간뿐 아니라 죽은 조상에게도 경의를 표하는 종교입니다. 이 종교의 보이지 않는 신이 역사적으로 본다면 (예수나 부처가 할 수 없는) 하나의 기적을 일으킨 것입니다. 나는 이야기를 여기서 끝내고 싶습니다. 이런 감동적인 이야기는 그대로 계속 보존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한국인들은(납득하기 어려운 복수심이나 오기 그리고 거친 폭력과 같은 것이 아니라) 놀라운 정신력으로 자신들이 50여년 전에 잃어버렸던 금메달을 되찾습니다. 서울에서 올림픽이 개최되고 4년 후 바르셀로나올림픽에서 늙은 '손기정'과 비슷한 체구를 지닌 '황영조'라는 한 젊은 마라토너가 몬주익 언덕에서 일본과 독일 선수를 따돌리고 월계관을 차지합니다. 경기장에서 한국국기가 게양되었을 때, '황영조선수는 한국국기에 경의를 표하며 기쁨의 눈물을 흘렸습니다. 그런 다음 그는 관중석을 향해 달려가 '손기정선수에게 메달을 선물하며 깊은 경의를 표했습니다. 황영조선수를 껴안은 '손기정선수는 아무 말이 없었습니다.
이 이야기는 슬픈 눈물로 시작하여 기쁨의 눈물을 흘리는 행복한 결말로 끝을 맺습니다. 이 한국인들, 아니 이 한국 민족은 역사상 그 어떤 민족도 그럴 수 없었던 인간의 존엄성을 그리고 국가와 민족으로서의 존엄성을 만방에 떨친 민족이 아닐까요? 도서관에 한 번 가보십시오! 그리고 시상대에 선 두 마라토너의 사진을 보십시오…. 그 순간 여러분들은 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이 될 것입니다. 슈테판 뮬러(Stefan Müller )
출처 : 독일주재 한국대사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