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번역성서 창세기 - 4장
카인과 아벨
4 자기 아내 하와를 알게 되니1) 그 여자가 임신하여 카인을 낳고, 이렇게 말하였다. “내가 주님의 도우심으로2) 남자 아이를 얻었다.”3) ○ 그 여자는 다시 카인의 동생 아벨을 낳았는데, 아벨은 양치기가 되고 카인은 땅을 부치는 농부가 되었다. ○ 세월이 흐른 뒤에4) 카인은 땅의 소출을 주님께 제물로 바치고, ○ 아벨은 양떼 가운데서 맏배들과 그 굳기름을 바쳤다. 그런데 주님께서는 아벨과 그의 제물은 기꺼이 굽어보셨으나, ○ 카인과 그의 제물은 굽어보지 않으셨다.5) 그래서 카인은 몹시 화를 내며 얼굴을 떨어뜨렸다.6) ○ 주님께서 카인에게 말씀하셨다. “너는 어찌하여 화를 내고, 어찌하여 얼굴을 떨어뜨리느냐? ○ 네가 옳게 행동한다면 얼굴을 들 수 있지 않느냐?7) 그러나 네가 옳게 행동하지 않는다면, 죄악이 문앞에 도사리고 앉아 너를 노리게 될텐데,8) 너는 그것을 잘 다스려야 하지 않겠느냐?”
카인이 아우 아벨에게 “들에 나가자.” 하고9) 말하였다. 그들이 들에 있을 때, 카인이 자기 아우 아벨에게 덤벼들어 그를 죽였다. ○ 주님께서 카인에게 물으셨다. “네 아우 아벨은 어디 있느냐?” 그가 대답하였다. “모릅니다. 제가 아우를 지키는 사람입니까?`” ○ 그러자 그분께서 말씀하셨다. “네가 무슨 짓을 저질렀느냐? 들어보아라. 네 아우의 피가10) 땅바닥에서 나에게 울부짖고 있다.11) ○ 이제 너는 저주를 받아, 입을 벌려 네 손에서 네 아우의 피를 받아낸 그 땅에서 쫓겨나리라.12) ○ 네가 땅을 부치어도, 그것이 너에게 더 이상 수확을13) 내주지 않으리라. 너는 세상을 떠돌며 헤매는 신세가 되리라.” ○ 카인이 주님께 아뢰었다. “그 형벌은 제가 짊어지기에 너무나 큽니다. ○ 당신께서 오늘 저를 이 땅에서14) 쫓아내시니, 저는 당신 앞에서 몸을 숨겨야 하고, 세상을 떠돌며 헤매는 신세가 되어, 만나는 자마다 저를 죽이려 할 것입니다.” ○ 주님께서 그에게 말씀하셨다. “아니다. 카인을 죽이는 자는 누구나 일곱 갑절로 앙갚음을 받으리라.”15) 그런 다음 주님께서는 카인에게 징표를16) 찍어주셔서, 어느 누가 그를 만나더라도 그를 죽이지 못하도록 하셨다. ○ 카인은 주님 앞에서 물러 나와 에덴의 동쪽17) 놋18) 땅에 살았다.
카인의 자손
카인이 자기 아내를 알게 되니19), 그 여자가 임신하여 에녹을 낳았다. 카인은 성읍 하나를 세우고, 자기 아들의 이름을 따라 그 성읍의 이름을 에녹이라 하였다. ○ 에녹에게 이랏이 태어났고, 이랏은 므후야엘을 낳고, 므후야엘은20) 므두사엘을 낳고, 므두사엘은 라멕을 낳았다. ○ 라멕은 아내를 둘 얻었는데, 한 아내의 이름은 아다이고 다른 아내의 이름은 실라였다. ○ 아다는 야발을 낳았는데, 그는 집짐승을 치며 천막에 사는 이들의 조상이 되었다. ○ 그 아우의 이름은 유발인데, 그는 비파와 피리를 다루는 모든 이들의 조상이 되었다. ○ 실라도 두발 - 카인을 낳았는데, 그는 구리와 쇠로 된 온갖 도구를 만드는 이였다. 그리고 두발 - 카인의 누이는 나아마였다.
라멕이 자기 아내들에게 말하였다.
"아다야, 실라야, 내 소리를 들어라.
라멕의 아내들아, 내 말에 귀를 기울여라.
나는 내 상처 하나에 사람 하나를,
내 생채기 하나에 아이 하나를 죽였다.
카인을 해친 자가 일곱 갑절로 앙갚음을 받는다면21)
라멕을 해친 자는 일흔일곱 갑절로 앙갚음을 받는다.”22)
셋과 그 자손들
아담이 다시 자기 아내를 알게 되니23) 그 여자가 아들을 낳고는, “카인이 아벨을 죽여버려, 하느님께서 그 대신 다른 자식 하나를 나에게 세워주셨구나.” 하면서 그 이름을 셋이라 하였다.24) ○ 셋에게도 아들이 태어나자, 그는 아들의 이름을 에노스라 하였다. 그때부터 사람들이 주님의 이름을 받들어 부르기 시작하였다.25)
1. 히브리말에서는 ‘알다, 알게 되다’가 흔히 남녀가 육체 관계를 맺는 것을 뜻한다.
2. 직역: “주님과 함께.” 하와는 이로써 인간 탄생에 끼치는 하느님의 결정적인 역할을 강조한다(29,31; 30,2.22; 1사무 1,6.11도 참조).
3. “카인”과 ‘얻다’(카나)는 히브리말에서 꼴이 비슷하다.
4. 직역: “날들의 끝에”(1열왕 17,7 참조).
5. 본문은 하느님께서 카인의 제물을 거절하신 이유를 말하지 않는다. 그래서 히브리서는 나름대로의 설명을 한다(11,4).
6. 직역: “그의 얼굴이 떨어졌다.”
7. “얼굴을 들 수 있지 않느냐?”는 의미상 풀어 옮긴 것이다. 히브리어 본문에는 “들어올림”에 해당하는 낱말 하나만 들어있다.
8. “너를 노리게 될텐데”의 직역: “그것의 갈망이 너에게.” 3,16과 각주도 참조.
9. “‘들에 나가자.’ 하고”는 히브리어 본문에는 없는데, 사마리아 오경, 칠십인역, 시리아어역, 그리고 불가타에 따라 삽입한 것이다.
10. “들어보아라. 네 아우의 피가” 대신 “네 아우의 피의 소리가”로 옮기기도 한다.
11. 피가 울부짖는다는 것은 히브리말에서 복수를 뜻한다. 이로써 성서 저자는 인간의 가정에 살인까지 부르는 불화를 상기시킨다. 생명 자체로 여겨지는 피가(9,4-5; 레위 17,14 참조) 불의하게 쏟아지면, 그에 따르는 보상이 요구되었다(37,26; 이사 26,21; 에제 24,7; 그리고 욥 16,18; 히브 12,24 참조).
12. 히브리어 본문에는 “……`땅에서”로만 되어있다.
13. 직역: “힘을.” 번식력으로서 결국은 그 힘의 결과인 수확을 가리킨다.
14. 직역: “이 흙의 표면에서.”
15. 이는 본디 고대 부족사회에서 잔인하게 원수를 갚던 것을 표현한다. 이를 이른바 ‘탈리온’ 법이 제한하기에 이른다(출애 21,23-25).
16. 보호의 표시이다(에제 9,4-6 참조).
17. 3,24 참조.
18. “놋(또는 노드)”은 알려지지 않은 땅이다. 12절과 14절에 나오는 “헤매는”을 뜻하는 낱말을(히브리말로 “나드”) 본떠 만든 것일 수도 있다.
19. 4,1 각주 참조.
20. 히브리어 본문에는 “므히야엘”로 되어있다.
21. 직역: “카인을 위해서 일곱 갑절로 복수가 갚아진다면.” 다음 줄도 마찬가지다.
22. 위 15절과 각주 참조.
23. 4,1 각주 참조.
24. “셋”과 “세워주셨구나”는 히브리말에서 모음만 다를 뿐 자음은 같다.
25. 여기서 “주님의 이름”은 “야훼”이다. 엘로힘계와 사제계 전승에 따르면 하느님 이름의 계시는 모세시대에 와서야 이루어지는데(출애 3,14; 6,2-3 참조), 여기서는 이름의 계시보다는 하느님께 대한 예배의 시작을 말하는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