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 (죽은이를 위해 가톨릭에서 기도하는 기도문)
혹시 여기에 오는 분들중에서 주변의 분들중 상(喪)을 당하신분들을 조문하고자 상가집을 가신 경험이 있으실것인데...그중에 천주교식으로 장례를 하시는 분들을 종종 가보셨을것 입니다. 그때 많은 가톨릭 신자분들이 하는 노래 비슷한 소리를 들으셨을터인데...그것을 연도 라고 합니다. 제가 어느 사이트에서 찾아서 올린글인데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 찬미예수님! 일반적으로 죽은 이를 위한 기도를 연도라고 하지요. 그러나 정확히 말씀드리면 이 말은 연옥에 있는 이를 위해 드리는 기도를 의미합니다. 이런 이유로 오늘날 연도보다는 '위령기도'라고 쓰기를 권하고 있습니 다. 죽은 이를 위한 기도는 비록 그 방법이나 내용이 다르다 하더라도 세계 어느 나라에서나 다 드리고 있습니다. 한국 천주교회에서는 초기부터 임종 직전에 놓인 분들이나 혹은 고인을 위해 '천주성교예규'는 예식서에 따라 기도해 왔던 것입니다. '성교예 규'라고도 불리는 이 책은 1859년 경 다블뤼신부가 한문본에서 한국실 정에 맞으면서도 필요한 것만을 추려내어 번역한 것이지요. 여기에는 임종을 돕는 규식 및 임종경, 상장예절등 이 자세히 수록되어 있습니다. 그 후 시간이 흐르면서 이 책이 계속 보완되고 재편집되어 최근까지 쓰 여왔던 것이지요. 그런데 그동안 사용하여 왔던 '성교예규'의 기도문들 이 너무나 오래 전에 번역된 것이기에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말들과 맞지 않는 것들이 많지 않습니까? 이런 이유로 1991년 서울대교구 전례위원회는 요즈음 말로 다시 번역해 서 '성교예규'라는 이름으로 출판한 것입니다. 그 결과 구번역과 신번역 사이에서 불편을 느끼는 분들도 계시리라 짐작되지만, 이는 새로 번역된 예규를 널리 보급함으로써 쉽게 해소되리라 믿습니다. 외국에는 연도라는 것이 없지만 성무일도를 합니다. 성무일도에는 돌아 가신 분을 위한 기도가 있지요. 그것을 해야 하는데 잘 안하니까 또 옛 날의 우리 나라는 한글을 모르는 사람이 많았고 그래서 연도라는것을 만 들어서 가락을 맞추어 구성지게 함으로써 글을 모르는 사람도 그냥 배워 서 할 수 있게 했어요. 악한 사람도 죽음 앞에서는 내가 죽은 다음에 좋은 데 가야 된다하는 그런 마음을 갖는 것처럼 그래서 이제 죽은 사람을 위해서 기도해 주 는데 연도라고 하는 것은 시편 130장, "주여 나 깊고 그윽한 곳에서 주께 부르짖나이다" 하는 게 130장입니다. 요새는 "깊은 구렁 속에서" 이렇게 다시 번역을 했죠. 그리고 그 다음에 시편 51편이 있죠. 그 두 가지를 주로 하는 것이고 다음에 성인들을 기억하면서 하는 호칭기도 와 교회에서 붙인 기도들입니다. 이건 교회에서 만든 것들인데 반드 시 그렇게 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반드시 노래를 부를 때 작곡가들 이 만든 대로해야만 노래는 아니죠. 마음에서 우러나는 대로 흥얼거 리면 그것이 바로 노래죠. 그러나 규칙적으로 음악적인 요소를 넣어 서 잘 만들었을 때 좋은 노래가 되는 것처럼 교회에서도 여럿이 맞추 어서 함께 잘하기 위해서 기도문을 책으로 만들어서 함께 합니다. 그럼, 왜 그럼 길게 뽑느냐? 글쎄요. 우리 나라 옛날 가락은 좀 길었 고, 심청가, 춘향가 이런 거할 때 보면 상당히 길게 하고 곡조가 특이 하지 않습니까? 요새 록음악이니 이런 것 하는 것을 보면 우리 조금 나이 먹은 사람들이 볼 때는 방정맞은 것 같고 좀 그렇지 않습니까? 요새 사람이 볼 때는 연도가 늘어지고 참 이상하게 보이지만 옛날 우 리 나라 곡이 대개 그랬어요. 그래서 그렇게 된 것 같습니다. 얼마 전에 성철 스님이 돌아가셨을 때 스님들이 죽 앉아서 염불하는 것을 봤더니 우리 연도하고 비슷하다 그런 생각이 들었어요. 우리 천주교회 가 우리 나라에 들어온 지 2백여 년밖에 안되었거든요. 그런데 그전 고려시대에는 순전히 불교밖에 없었고, 이조시대에 와서는 숭유억불 정책을 써서 유교를 많이 했지만 그래도 불교가 단연 우세했거든요. 그래서 외적인 그런 곡조가 영향을 받았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