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철대철베드로
2004. 9. 18. 18:45
의 복 (The Clothes) |
[ 양서 권54 열전-백제 <梁書列傳-百濟> ] 今言語服章略與高驪同, 行不張拱, 拜不申足則異. "지금에 언어와 복장은 대략 고구려와 같은데, 다닐 때 두 손을 맞잡지 않고 절할 때 다리를 펴지 않는 점이 다르다." [ 후한서 권85 열전-예 <後漢書 列傳-濊> ] 耆舊自謂與句驪同種, 言語法俗大抵相類. "(예의) 늙은이들이 스스로 이르기를 고구려와 같은 종족이라 한다. 언어와 법속이 대개 서로 유사하다." [ 후한서 권85 열전-한 <後漢書 列傳-韓> ] 弁辰與辰韓雜居, 城郭衣服皆同, 言語風俗有異. "변진과 진한은 섞여 산다. 성곽과 의복은 다 같은데 언어와 풍속은 다른 점이 있다." [ 삼국지위지동이전 권30-한 <三國志 魏志 東夷傳-韓> ] 弁辰與辰韓雜居, 亦有城郭. 衣服居處與辰韓同. 言語法俗相似. "변진과 진한은 섞여 사는데. 또한 성곽이 있다. 의복과 거처는 진한과 더불어 같고 언어와 법속이 서로 비슷하다." [ 삼국지위지 동이전 권30-예 <三國志 魏志 東夷傳-濊> ] 言語法俗大抵與句麗同. "언어와 법속이 대개 고구려와 같다" [ 남사 권79-백제 <南史-百濟> ] 言語服章略與高麗同. "언어와 복장은 대략 고구려와 같다." [ 후한서 권85 열전-동옥저 <後漢書 列傳-東沃沮> ] 言語食飮居處衣服有似句驪. "(동옥저는) 언어, 음식, 거처, 의복이 고구려와 비슷하다." [ 양서 권54-열전 고구려 <梁書 列傳-高句麗> ] 言語諸事, 多與夫餘同, 其性氣衣服有異. "언어와 여러 일들이 부여와 많이 같은데, 그 성질과 의복은 다른 데가 있다." |